사도행전 15:12-21
12 온 무리가 가만히 있어 바나바와 바울이 하나님께서 자기들로 말미암아 이방인 중에서 행하신 표적과 기사에 관하여 말하는 것을 듣더니
13 말을 마치매 야고보가 대답하여 이르되 형제들아 내 말을 들으라
14 하나님이 처음으로 이방인 중에서 자기 이름을 위할 백성을 취하시려고 그들을 돌보신 것을 시므온이 말하였으니
15 선지자들의 말씀이 이와 일치하도다 기록된 바
16 이 후에 내가 돌아와서 다윗의 무너진 장막을 다시 지으며 또 그 허물어진 것을 다시 지어 일으키리니
17 이는 그 남은 사람들과 내 이름으로 일컬음을 받는 모든 이방인들로 주를 찾게 하려 함이라 하셨으니
18 즉 예로부터 이것을 알게 하시는 주의 말씀이라 함과 같으니라
19 그러므로 내 의견에는 이방인 중에서 하나님께로 돌아오는 자들을 괴롭게 하지 말고
20 다만 우상의 더러운 것과 음행과 목매어 죽인 것과 피를 멀리하라고 편지하는 것이 옳으니
21 이는 예로부터 각 성에서 모세를 전하는 자가 있어 안식일마다 회당에서 그 글을 읽음이라 하더라
♱ 말씀이 이와 일치하도다 ♱
하나님 아버지, 성령의 돌보심으로 말씀과 일치하는 인생을 살아가길 원합니다. 말씀해 주시옵소서. 듣겠습니다.
성령의 돌보심으로 말씀과 일치하려면 첫째, 눈높이를 맞추어야 합니다.
오늘 12절에 ‘온 무리가 가만히 있어’라고 해요. 요 앞 절까지 어떤 일이 있었기에 지금 온 무리가 가만히 있을까요? 그동안 바울과 바나바는 모세의 율법이 아닌 오직 믿음으로 말미암아 구원을 얻으리라 하며 이방인에게 복음을 전파했지요. 그런데 15장이 시작되자 유대로부터 어떤 사람들이 와서는 ‘모세의 법대로 할례를 받지 아니하면 능히 구원을 받지 못하리라’하며 그야말로 초를 치고 다녔어요. 그래서 바울 및 바나바와 그들 사이에 적지 아니한 다툼이 일어납니다. 급기야 이 다툼 때문에 바울 일행은 예루살렘 공회까지 가잖아요. 그리고 그 공회에서 베드로가 하나님은 이방인을 차별하지 않으시고 율법이 아닌 믿음으로 구원하신다라고 변론하는데 지금 그 변론을 듣고도 온 무리가 가만히 있었다는 것입니다. 그런데 이때 바나바와 바울은 왜 하나님이 자신들을 통해 행하신 수많은 일 중에서 표적과 기사만 콕 집어서 말했을까요?
고린도전서 1장 22절에 보면 ‘유대인은 표적을 구하고 헬라인은 지혜를 찾으나’라고 하지요. 눈에 보이는 표적과 기사를 좋아하는 유대인들이니 그들의 눈높이에 맞추어서 자신들과 함께 일하시는 성령 하나님을 증언한 것입니다. 적용해 보세요.
♱ 가정이나 직장에서 구원을 위해 눈높이를 맞추어야 할 일은 무엇입니까? 우월감이나 열등감 때문에 복음을 전하기는커녕 아예 상종도 안 하는 모습은 없나요?
성령의 돌보심으로 말씀과 일치하려면 둘째, 내 죄를 고백해야 합니다.
13절에 ‘말을 마치매 야고보가 대답하여 이르되 형제들아 내 말을 들으라’고 합니다. 여기서 갑자기 나오는 야고보는 누구죠? 세베대의 아들이자 요한의 형제인 야고보는 이미 12장 2절에서 순교를 당했으니 이 야고보는 예수님의 동생 야고보입니다. 갈라디아서 2장에 보면 그를 가리켜 기둥 같은 사람이라고 하죠. 그러나 처음부터 그런 건 아닙니다.
그는 예수님의 동생이면서도 예수님을 믿지 않았어요. 마가복음 3장에 보면 사람들이 예수님을 미쳤다 하고 예수님은 심지어 가족과 누가 내 어머니이며 동생들이냐 하셨잖아요. 그러니 예수님 동생으로 사는 것이 얼마나 창피하고 힘들었겠습니까? 믿음이 생길 리 없죠. 그런데 고린도전서 15장 7절에 보면 주님은 부부 부활하신 후 야고보를 개인적으로 찾아가십니다. 그때부터 야고보가 변합니다. 그리고 오늘 예루살렘 공회의 의장이 되어서 온 인류의 이방 선교를 위한 법적 판결을 맡게 된 것입니다. 더구나 가문 좋아하는 유대인들에게 예수님의 동생이라는 사실이 얼마나 큰 효력을 발휘했겠습니까? ‘예수님 동생이 나도 너희와 똑같이 예수님을 비난했다. 그러나 부활의 주님이 찾아주셔서 나도 변했다’ 이런 죄 고백을 하며 심지어 ‘형제들아’하니 그 말에 따르지 않을 자가 없는 것입니다. 그리고 야고보는 오늘 16절과 17절에서 아모스 9장 11절과 12절에 기록된 말씀을 인용하지요. 이 이야기는 무엇인가 하면 교회를 세우신 목적이 유대인만이 아니라 모든 이방인들이 주를 찾게 하기 위함이라는 것이에요.
즉 예로부터 이것을 알게 하시는 주의 말씀이라 함과 같으니라는 18절 말씀도 그래요. 바나바와 바울 베드로가 한 말이나 수백 년 전에 아모스 선지자가 했던 말, 곧 기록된 말씀이 일치한다는 것입니다. 가정에서 직장에서 학교에서 내가 열심히 누구를 뒷바라지해도 그렇지요. 말씀과 일치하지 않으면 그것은 성령의 돌보심이 아닙니다. 날마다 싫은 소리를 해도 말씀과 일치한다면, 그것이 성령의 돌보심인 것입니다. 여러분은 어떠세요?
♱ 내 가족을 돌본다고 하면서도 말씀과 일치하지 않는 것은 무엇입니까? 말씀과 일치하지 않았던 내 죄를 고백하며 복음을 전하고 있습니까?
아들의 해외 유학 실패 사건을 통해 기복과 열심으로 남편과 자녀를 괴롭힌 죄를 회개하니 공동체 안에서 가족이 회복되었다는 한 성도님의 큐티인 묵상 간증이에요.
“믿음이 없던 저는 기독교를 혐오하는 남편을 만나 결혼했어요. 결혼 후 남편은 술에 빠져 집 밖으로만 돌았지요. 첫째를 낳고서 통장 잔액이 0원이 되자 저는 제 발로 교회를 찾았어요. 그러나 기복적으로 신앙생활을 하며 자녀들에게 매일 큐티, 주일 예배와 새벽 예배 참석을 강요했어요. 남편은 그런 저를 광신도로 여겼고 자녀들은 억지로 순종하느라 마음이 병들어 우울증에 빠졌어요.
그럼에도 위기의식이 없던 저는 어린 아들을 해외로 유학까지 보냈습니다. 그런데 그곳에서 아들을 돌봐주던 사람이 성폭행범으로 구속되는 사건이 생겼어요. 다행히 아들이 대상은 아니었지만 아들은 결국 애매한 학력으로 한국에 돌아와야 했어요. 그렇게 모두 물거품이 되었을 때 저는 말씀과 삶이 일치하는 공동체로 인도되었어요. 구속사 말씀을 들으며 저를 잊지 않고 기다려 주신 하나님의 사랑이 깨달아져 눈물로 저의 죄를 회개했습니다. 이후 남편과 자녀들에게도 독단적인 행동을 사과했어요. 그러자 남편이 교회 소그룹 모임에 참석하고 알코올 중독 치료까지 받았어요. 아픈 자녀들도 공동체의 돌봄 속에 영과 육을 회복했답니다. 무너진 저희 가정을 16절처럼 말씀의 능력으로 다시 지어 일으켜 주신 주님 감사해요.
앞으로도 말씀을 읽는 자리를 잘 지키며 아내와 엄마의 역할을 기쁘게 감당하길 소망합니다. 저의 적용은 ‘알코올 중독이 있는 가족 때문에 힘들어하는 소그룹 지체에게 나도 그랬다며 간증을 전하겠습니다. 남편과 자녀들의 신앙생활을 판단하며 잔소리하지 않고 기도로 돕겠습니다’입니다.
19절에서 야고보는 ‘그러므로 내 의견에는 이방인 중에서 하나님께로 돌아오는 자들을 괴롭게 하지 말고’라고 해요. 여기서 ‘그러므로’는 무슨 내용이죠? 오직 믿음으로 구원을 받으므로 이제는 하나님께 돌아오는 이방인들에게 모세의 율법을 지키고 할례를 받아야 구원을 얻는다는 말을 하여 괴롭게 하지 말라는 것입니다. 한 줄기 빛 같은 그리스도의 복음을 듣고 예수님 믿으려고 교회에 왔는데 ‘할례 받아라 율법 지켜라’하니까 ‘이게 뭐지?’하며 숨이 막히지 않았겠습니까? 아무리 옳은 기준이라고 해도 그래요. 그것을 하나님의 은혜보다 높이 올리는 순간 그것은 남을 죽이는 무기가 됩니다. 복음은 복된 소식, 굿 뉴스, 기쁜 소식이잖아요. 그런데 이제 막 예수 믿으려고 교회 왔는데 ‘헌금해라 봉사해라’ 강요한다면, 이게 기쁜 소식으로 들리겠습니까?
20절에서는 이방인들에게도 우상의 더러운 것과 음행과 목매어 죽인 것과 피를 멀리하라고 권면합니다. 공동체 안에서 교제를 잘하려면 피차 눈살 찌푸릴 일은 하지 말라는 것이지요. 믿음에는 저마다 분량이 있습니다. 유대인 분량이 있고 이방인 분량이 있습니다. 새신자이든 오래된 신자이든 중요한 것은 어떤 말씀이든지 각자 자기에게 주시는 말씀으로 들으면 되는 것입니다. 저마다 내 죄, 내 부족함만 보면 됩니다.
그리고 예수님의 십자가와 부활은 율법을 대체한 것이 아닙니다. 율법을 완성한 것입니다. 그러니 율법만 내세우는 유대인들을 손가락질할 것도 없지요. 우리는 그저 사랑으로 그 율법을 완성하면 되는 것입니다.
♱ 기도 드립니다.
주님, 저희를 자기 이름을 위할 백성으로 취하시고 날마다 이렇게 돌보아 주시니 감사합니다. 이제는 믿지 않는 내 가족, 내 이웃들도 이런 성령의 돌보심을 잘 받으면 좋겠습니다. 그래서 주를 찾게 해야 하는데 믿음 없는 그들과 눈높이를 제대로 맞추지 못합니다. 내 삶이 말씀과 일치하지 않다 보니 날마다 하나님께로 돌아오는 자들을 괴롭힙니다. 용서해 주시옵소서. 우상에 더러운 것과 음행과 목매어 죽인 것과 피를 멀리하길 원합니다. 죄를 그치게 도와주시고 악한 생각을 멈출 수 있도록 인도해 주시옵소서.
이 시간 각종 중독 가운데 있는 분들을 위해 기도합니다. 중독으로부터 고침을 받게 하여 주시옵소서. 특히 알코올 중독인 분들과 그 자녀들을 위해 기도합니다. 이들을 치유하여 주시옵소서. 허물어진 가정을 찾아가 다시 지어 일으켜 주시옵소서. 이 나라의 가정을 지키시고 살려주시옵소서. 예수 그리스도 이름으로 기도 드리옵나이다. 아멘